0C 개발일지
AWS VPC, Subnet 생성 본문
오늘은 일경험 3일차.
AWS VPC, Subnet 생성 방법을 배웠다.
VPC 개념
- VPC란? 사용자 전용 가상 네트워크
- 사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IP 주소 범위 선택, 서브넷 생성, 라우팅 테이블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크 환결을 구성해 VPC를 생성할 수 있음
- 하나의 네트워크(VPC)에 서버(Subnet) 생성
- 서브넷이란? VPC의 IP 주소를 나누어 리소스가 배치되는 물리적인 주소 범위를 의미.
- VPC가 논리적인 범위를 의미한다면, 서브넷은 실제로 EC2, RDS 같은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영역임.
- 하나의 VPC에 N개의 서브넷을 가질 수 있으며, 하나의 AZ에만 생성 가능함.
- 서브넷은 Public Subnet과 Private Subnet으로 구분할 수 있음.
- Public Subnet : 인터넷 연결 O (VPC 외부/내부와 통신)
- Private Subnet : 인터넷 연결 X (VPC 내부에서만 통신, 필요시 NAT GateWay 사용)
- 각각의 Subnet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영역을 가지고 있어서 한 Subnet이 다른 Subnet으로 가기 위해서는 Routing이 필요함
- 라우팅 테이블은 내부에서만 통신하는 Local Routing 외에도 외부 인터넷망으로 나갈 수 있는 Routing을 가질 수 있는데, 이를 인터넷 게이트웨이(Internet GateWay)라고 함
- VPC 는 기본적으로 격리된 네트워크 환경으로, VPC에서 생성된 리소스들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VPC의 인스턴스와 인터넷 간에 통신 가능
VPC 생성 방법
- 리전(Region) → 서울인지 확인
- 리전(Region) 이란? AWS의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인 국가/도시 단위의 위치
- VPC 는 각 리전에 종속되며, RFC1918 이라는 사설 IP 대역에 맞추어 설계해야 함.
- VPC 메뉴에서 VPC 생성 클릭 (계정 생성 시 default 로 생성되는 VPC 사용해도 됨)
- 세부사항 선택 및 입력 후 VPC 생성 클릭
- 생성할 리소스 → VPC만
- IPv4 CIDR 블록 → IPv4 CIDR 수동 입력
- IPv4 CIDR → 아이피 범위 입력하되 블록 크기는 /16에서 /28사이어야 함
- IPv6 CIDR 블록 → 블록 없음
- 테넌시 → 기본값
Subnet 생성 방법
- 서브넷 메뉴에서 서브넷 생성 클릭
- 서브넷을 생성할 VPC ID 선택
- Public 서브넷 세부사항 선택 및 입력 하기
- 가용영역 → 아시아 태평양 (서울) / ap-notrtheast-2a
- IPv4 서브넷 CIDR 블록 → 30.30.30.0/24 내에 있어야 하므로 24보다 높은 블록 크기 입력
- 새 서브넷 추가하기
- Private 서브넷 세부사항 선택 및 입력 하기
- 가용영역 → 아시아 태평양 (서울) / ap-notrtheast-2a
- IPv4 서브넷 CIDR 블록 → Public 서브넷 30.30.30.0/26으로 설정 했으므로 화살표(”>”) 클릭해서 다음 범위 설정 가능
- 서브넷 생성 클릭
- Public, Private 서브넷 생성완료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피그마 (Figma) 기초 (0) | 2024.07.10 |
---|---|
AWS Public/Private Subnet 작업 (0) | 2024.07.10 |
일경험 4-5일차 (0) | 2024.07.06 |
AWS 전반적인 개념 (2) | 2024.07.02 |
AWS IAM Admin 계정 생성 (0) | 2024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