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C 개발일지
AWS Linux EC2 Redis 설치하기 본문
Redis 레디스
빠른 오픈 소스 인 메모리 키 값 데이터 구조 스토어.
다양한 인 메모리 데이터 구조 집합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사용자 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.
- Key, Value 구조이며,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.
- String, Lists, Sets, Sorted Sets, Hashes 자료 구조를 지원한다.
- Single Threaded (한 번에 하나의 명령만 처리할 수 있다.)
등...
- dnf 패키지 업데이트
sudo dnf update -y
- redis 패키지 검색
sudo dnf search redis
redis6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.
- redis 설치
sudo dnf install redis6
- redis 재시작 & 부팅 시 실행 설정
sudo systemctl restart redis6
sudo systemctl enable redis6
- 기본 설정 변경
sudo vi /etc/redis6/redis6.conf
외부 호스트가 redis에 접근 가능하도록 bind 설정 값 변경한다.
Insert 하면 입력 가능해진다.
bind 127.0.0.1을 주석 처리 하고
bind 0.0.0.0 을 추가한다.
해당 값으로 변경하면 모든 IP 로부터 접근 허용하게 된다.
원하는 포트 번호가 있으면 수정해주면 되지만...
기본 포트 6379을 사용하기로 한다.
- 레디스를 데몬으로 실행하기
- daemonize option은 redis을 데몬화해서 실행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옵션으로 no or yes로 구성되며 default 는 no이다. yes로 변경하면 된다.
- 참고로 데몬이란 어떤 오류로 인해 프로세스가 죽어도 그 프로세스를 계속해서 살려서 계속 도는 프로세스라고 생각하면 됨. 레디스를 데몬으로 실행하면 프로세스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pid 파일이 생성된다. 왜냐하면 해당 프로세스가 살아있는지 죽어있는지 확인하려고 프로세스 pid를 관찰하며, 이 pid정보는 /var/run/redis.pid에 저장됨
- 데몬으로 기동 시, redis 여러개 기동할 수 있음
- 보안그룹 설정
- AWS EC2 보안그룹에 6379 포트 추가하기
- 설정 파일 적용
sudo vi /lib/systemd/system/redis6.service
sudo vi /etc/systemd/system/redis6.service
- ExecStart 부분에서 버전에 맞는 설정파일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. redis6버전이므로 redis6.conf로 되어 있어야 한다.
- daemonize를 yes로 변경해준다
- 프로세스가 동작하는지 확인해보기
netstat -ntlp | grep 6379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Linux Spring Boot 프로젝트 배포 ② (0) | 2024.09.02 |
---|---|
AWS Linux Spring Boot 프로젝트 배포 ① (0) | 2024.08.29 |
AWS Immersion Day: AWS Database & Storage 웨비나 후기 - RDS (0) | 2024.08.05 |
AWS Linux 서버에 MySQL WorkBench 연결 (0) | 2024.08.02 |
로드밸런싱 및 오토스케일링이란? (0) | 2024.08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