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C 개발일지
AWS EC2 Public 서버 생성 및 PuTTY 를 통한 연결 (Linux) 본문
오늘은 Linux로 EC2 Public 서버 생성하고 연결했다.
Public 서브넷에 Linux 서버 생성 -> 이전 포스팅과 동일한 방법임
1. EC2의 인스턴스 → 인스턴스 시작
2. 정보 입력
- 이름 및 태그
- 이름 입력
-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(Amazon Machine Image)
- Amazon Linux 선택
- Amazon Machine Image(AMI) → 기본
- 인스턴스 유형 → t2.micro 선택
- 기존에 생성한 keypair(.ppk)선택
- 기존에 ppk 로도 키페어를 만들어 둔게 있어서 사용했지만,
- .pem 선택시, PuTTYgen 프로그램 에서 확장자 .ppk로 변경 가능하므로 무관!
- 네트워크 설정 → 편집
윈도우는 rdp 였는데, ssh로 바뀌었다.. 이유는? 아래에!!!
- 인바운드 보안 그룹 규칙
- 유형 - ssh
- 소스 유형 - 사용자 지정, 원본 - 아이피 입력(아이피/32) ... → 내 아이피 선택해도 무관
- 설명 (선택사항)
- rdp(remote desktop protocol) 과 ssh(secure sell)의 차이점
- rdp : 원격 데스크탑 프로토콜, 마이크로소프트사 개발
- 다른 PC에 GUI(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)를 제공함
- ssh :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여 명령을 실행하고 정보를 보고 받을수 있도록 해 주는 통신 프로토콜
- 리눅스는 rdp 및 GUI를 제공하지 않음
- 암호화 기능(기존의 talent은 암호화를 제공하지 않아 보안상 취약했음)
- 서버에 접속할 비밀번호 대신 key를 제출하는 방식
- SSH 키(Key)는 공개키(public key)와 비공개키(private key)로 구성
- 공개키는 리모트 머신(SSH Server가 설치된 컴퓨터)에 위치해야 하고, 비공개키는 로컬 머신(SSH Client가 설치된 컴퓨터)에 위치해야 함
- SSH 접속을 시도하면 SSH Client가 로컬 머신의 비공개키와 원격 머신의 비공개키를 비교해서 둘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함.
- 스토리지 구성 (C 드라이브 용량 설정)
- 8GiB, gp3 선택 (Linux 기본)
PuTTY 를 통해 AWS EC2 서버 접속
- PuTTY 프로그램을 사용하면, Windows 운영 체제로 원격의 다른 컴퓨터나 서버에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다.
- PuTTY 설치
- https://www.chiark.greenend.org.uk/~sgtatham/putty/latest.html
- 위 링크에서 컴퓨터 사양에 맞게 선택하여 다운로드
- PuTTY.exe 실행
- 앞서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퍼블릭 IPv4 주소 복사하기
- 복사한 퍼블릭 IPv4를 Host Name (or IP address)에 붙여넣기
- Save 시, 다음 접속 시 편함
- Connection type → 프로토콜 종류
- ssh 로 생성하였으므로 ssh 선택
- Category에서 Connection → SSH → Auth → Credentials 클릭
- 키 페어 ppk 파일을 Private Key file for authentication에 넣기
- Open 클릭
- Accept 클릭
- 사용자 이름(ec2-user) 입력 → 엔터
- ip주소가 생성한 EC2 인스턴스의 프라이빗 IPv4 주소와 동일하다면 정상 접속
- 테스트 용으로 ping google.com 입력 → 정상적으로 출력되면 성공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설치 (0) | 2024.07.29 |
---|---|
Linux 웹 서버 구축 (0) | 2024.07.26 |
AWS EC2 서버 (public/private) 연결 (1) | 2024.07.24 |
AWS EC2 Public 서버 생성 (2) | 2024.07.22 |
피그마(Figma) 모바일 메인 & 예매창 실습 (0) | 2024.07.19 |